OS/Linux

Disk quota

우럭망둥이 2011. 3. 7. 14:12
* Disk 할당량
Windows 2003 기반

- 디스크 할당량은 Administrators 그룹 만 가능하다.

1. size에 의한 제한
-> 사용자에게 size를 기반으로 제한을 준다.

2. i-node에 의한 제한
-> 파일은 하나의 i-node를 갖는다 따라서 파일 개수의 제한이 된다.


내컴퓨터 -> 드라이브 선택 -> 우클릭 -> 할당량
할당량 관리 사용 체크
할당량 한도를 넘은 사용자에게 디스크 공간 주지 않음 체크



* 리눅스 CentOS 디스크 할당량 Quota
[Linux Disk 추가]

# fdisk -l
sda : SCSI/S-ATA 타입의 첫번째 디스크
sda1 : sda 디스크의 첫번째 파티션
sda2 : sda 디스크의 두번째 파티션
sdb
sdc

hda : E-IDE 타입의 첫번째 디스크
hdb
hdc


# fdisk -l 로 디스크 정보 확인 (디스크 인식 확인)
# fdisk /dev/sdb : sdb 디스크의 파티션 편집(생성/삭제/확인)
n : 새로운 파티션 생성(n 입력 후 e:extended 파티션 생성,
p:primary 파티션 생성)
p : 파티션 구성 정보 출력
d : 파티션 삭제
q : 종료
w : 파티션 정보 저장 후 종료
m : 옵션 리스트 확인
파티션 Size = +2M (파티션 크기를 2MB로 지정)
+20K(파티션의 크기를 20KB로 지정)

# parted : fdisk 명령어처럼 파티션 구성할 때 사용하는 또 다른 명령어

설정후
w -> write table

# mke2fs -j /dev/sdb1 (#mkfs -t /dev/sdb1)
-> mke2fs는 ext2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 mke2fs -j 옵션은 ext3 파일시스템을 생성한다.
-> -j journaling

unix의 경우 /etc/vfstab
/etc/fstab 으로 부팅시 자동 마운트 설정
/dev/sdb1 /home ext3 defaults 1 1

1. 디스크 할당 설정을 할 마운트 포인트를 결정(/home)
(Ex. /home, 그리고 /home Directory는 /dev/sdb1 파티션과 mount 되어 있다고 가정)
--> df명령을 이용하여 확인 mount 정보 확인

2. quota-<버전>.rpm 설치 여부 확인
# rpm -qa | grep quota
없을경우 설치
-> cd /media/cdrom/CentOS/RPMS
# rpm -ivh quota-<버전>-.rpm : 설치

3. # vi /etc/fstab
/dev/sdb1 /home ext3 defaults,usrquota,grpquota 1 1
defaults옆에 usrquota,qrpquota를 추가한다.
usrquota : user 대상
grpquota : group 대상

재부팅 없이 적용 : # mount -o remount /home


4. quiotacheck --> aquota.user, aquota.group
-a : 디스크 사용량 할당이 활성화 되고, /etc/fstab에 마운트 된 모든 파일시스
-m : file system이 작동중인 상태에서 강제로 quotacheck를 시도

# quotacheck -acugfm
"aquota.user, aquota.group" 파일이 /home에 생성됨

5. # edquota
-u : 사용자 계정에 대해 디스크 할당량 설정
-g : 그룹에 대해 디스크 할당량 설정
-t : 디스크 할당량 유예기간 설정
-p : 디스크 할당량 설정을 다른 계정에게 동일하게 설정

가정1> 리눅스 시스템에 user01, user02, user03 계정이 존재
# edquota -u user01

1block = 1KB

6.
# quotaon /home
# quotaoff
# repquota -a

# dd if=/dev/zero of=./a bs=1M count=1 : 1MB 크기의 a 파일 생성
# dd if=/dev/zero of=./b bs=1M count=2 : 2MB 크기의 b 파일 생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