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raid1
- RAID0
- 글자겹침
- Raid
- egrep or 조건
- AIX DB2
- egrep
- GTK
- gtk설치
- Callback함수
- IP대역
- JMF
- port fowarding
- Linux
- 시간비교
- RAID5
- BFF
- 로컬보안정책
- RAID 0+1
- windows2008
- 보안감사생성
- NormalBlockError
- 화이트도메인
- Linux DB2
- Paket tracer
- C
- 무료proxy
- 역방향조회
- Root 허용
- iptable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locale (1)
술텀뱅이 블로그
locale 설정
한글이라면 locale과 관련이 있을겁니다. 보통 root의 기본 locale이 LANG=C로 되어있죠. root는 상당히 위험한 유저이므로 사용은 극히 자제해야합니다. 물론 시스템의 설정을 위해서는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하지만 그렇지 않고 일반적인 문서작업이나 홈페이지 문서 작업들은 root보다는 일반 유저로 작업을 하는게 좋습니다.(홈페이지 권한을 chown으로 작업용 유저에게 줘버리는 것도 한가지 방법이죠.) root에서 한글을 읽고 쓰기 위해서 locale을 맞추는 방법은 LANG변수의 값을 변환시켜주면 됩니다. 일단 일반 유저에서 locale을 실행합니다. 코드: # locale LANG=ko_KR.eucKR LC_CTYPE="ko_KR.eucKR" ... # 이렇게 나오면 현재 ko_KR.eu..
OS/Linux
2011. 3. 7. 14: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