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NormalBlockError
- Linux DB2
- AIX DB2
- GTK
- 로컬보안정책
- raid1
- Root 허용
- Callback함수
- egrep
- C
- 보안감사생성
- 시간비교
- port fowarding
- windows2008
- Linux
- RAID 0+1
- 무료proxy
- RAID5
- 화이트도메인
- IP대역
- BFF
- JMF
- Raid
- 역방향조회
- gtk설치
- 글자겹침
- RAID0
- iptable
- Paket tracer
- egrep or 조건
- Today
- Total
술텀뱅이 블로그
RAID 1 - Mirroring 방식 # metainit d20 1 1 c1t1d0s3 # metainit d30 1 1 c1t2d0s3 # metainit d23 -m d20 ---> d20을 d23 이라는 논리디스크에 붙인다. # metattach d23 d30 ---> 나머지 d30을 d23에 구성시켜 완성한다. # newfs /dev/md/rdsk/d23 # mkdir /mirror # mount /dev/md/dsk/d23 /mirror # cd /mirror # mkfile 200m testx ----------->가용공간은 하나의 디스크공간으로 계산됨
Stripe 방식의 RAID 구현 # metainit d1 1 2 c1t3d0s3 c1t4d0s3 이번에는 1개의 장치에 2개의 하드를 사용한다고 설정 # metastat --> d1 디스크 정보 확인 # newfs /dev/md/rdsk/d1 --> 포멧 # mkdir /stripe # mount /dev/md/dsk/d1 /stripe # cd /stripe # mkfile 300m test3 --> mount후 디스크 사용상태를 확인한다.
# devfsadm --> DEVICE 장착 후 인식 # format 0~4 Disk 1~4 (2GB) c1t1d0, c1t2d0, c1t3d0, c1t4d0 각 디스크는 fdisk가 수행 되어져야 함 -> y 선택 각 슬라이스당 디스크 할당(Cylinder 번호) # prtvtoc /dev/rdsk/c1t1d0s2 > /disk # fmthard -s /disk /dev/rdsk/c1t2d0s2 # fmthard -s /disk /dev/rdsk/c1t3d0s2 # fmthard -s /disk /dev/rdsk/c1t4d0s2 # newfs /dev/rdsk/c1t1d0s0~4 # metadb -a -f -c5 c1t1d0s0 c1t2d0s0 c1t3d0s0 c1t4d0s0 --> RAID를 구성하기..